맨위로가기

보은군·옥천군·영동군 (197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보은군 선거구와 영동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부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육인수, 이용희, 박유재, 박준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은군의 정치 - 보은군 (선거구)
    보은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보은군 전 지역을 관할하다가 1963년 옥천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으며, 김교현, 최면수, 김선우, 박기종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보은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보은군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보은군의회는 2018년에 실시되었으며, 보은군 지역구 3개 선거구에서 총 7명의 의원을 선출했고, 더불어민주당 4명, 자유한국당 3명이 당선되었으며,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석을 얻었다.
  • 영동군의 정치 - 영동군수
    영동군수는 충청북도 영동군의 행정 수반으로, 1995년 이전에는 중앙 정부 임명의 관선 군수가, 이후에는 주민 직선의 민선 군수가 군정을 이끌며, 역대 군수들의 임기와 활동은 관선과 민선 시기로 나뉘어 기록되고 민선 군수들은 정치적 성향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평가받는다.
  • 영동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동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동군의회는 3개의 지역구에서 7명의 의원과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1명의 의원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총 5석, 자유한국당이 3석을 차지했다.
  • 옥천군의 정치 - 옥천군수
    옥천군수는 옥천군의 행정 수반이며, 1995년 7월 1일부터 민선으로 선출된다.
  • 옥천군의 정치 - 옥천군수 선거
    옥천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번 실시되었으며, 류봉렬, 한용택, 김영만, 김재종, 황규철 등이 군수로 당선되었다.
보은군·옥천군·영동군 (197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보은군·옥천군·영동군
의회국회
큰 지도충청북도
선거 연도1973년
폐지 연도1988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옥천군·보은군
영동군
이후 선거구보은군·옥천군·영동군
의원 수2인

2. 역사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보은군 선거구와 영동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소선거구제가 시행됨에 따라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은 각각 개별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보은군 선거구와 영동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2. 2.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인한 폐지 (1988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소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은 각각 개별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는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9대 국회의원 (1973년 ~ 1978년)

선거정당1위 의원정당2위 의원
1973년민주공화당육인수무소속이용희



육인수박정희 대통령 부인 육영수 여사의 오빠이다. 이용희는 이후 신민당, 민주한국당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3. 2. 제10대 국회의원 (1978년 ~ 1980년)

선거정당1위 의원정당2위 의원
1978년민주공화당육인수신민당이용희


3. 3. 제11대 국회의원 (1981년 ~ 1985년)

1위 의원1위 정당2위 의원2위 정당
박유재민주정의당이동진한국국민당


3. 4. 제12대 국회의원 (1985년 ~ 1988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박준병 후보와 민주한국당 이용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박준병은 12.12 군사반란 주도 세력 중 한 명이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이 선거구에서는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와 무소속 이용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육인수민주공화당44,84535.64
이용희무소속23,48318.66
이동진무소속22,91718.21
박기종무소속19,41015.42
성백준무소속6,4425.11
김선우신민당6,2414.95
이원형민주통일당2,4891.97
합계125,827100
무효표1,887-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육인수민주공화당48,75836.09%당선
이용희신민당29,36521.74%당선
최극신민당19,49214.43%
이광호무소속17,06112.63%
이재인민주통일당9,6937.17%
전연규무소속5,0923.76%
염종훈무소속3,3032.44%
안정준무소속2,3091.70%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박유재 후보와 한국국민당 이동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유재민주정의당57,50943.56
이동진한국국민당34,92426.45
정선영민주한국당19,11714.48
김태형민주농민당7,9536.02
신태호신정당5,8534.43
김영만사회당19812,7862.11
이건태민권당2,2391.69
장환진무소속1,6231.22
합계132,004
무효표1,516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박준병 후보와 민주한국당 이용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준병민주정의당88,04764.70%
이용희민주한국당22,14316.27%
이동진한국국민당15,72611.55%
최극신한민주당10,1637.46%
합계136,079
무효표2,383
유권자149,5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